"허참, 이게 말이되나."
얼마 전 만난 모 대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대화 도중 응급실에 전공의 배치 현황을 확인하더니 혀를 차며 한숨을 내쉬었다.
그의 눈길이 머문 모니터를 보니 전공의 한명이 환자 20여명을 커버해야하는 상황이었다.
해당 대학병원은 소위 말하는 빅5병원 중 하나로 응급실은 늘 전국에서 온 중증환자가 줄을 서는 곳이다.
그나마 전공의 수련 환경이 괜찮다고 하는 병원이 이 정도이니 다른 병원 전공의들의 상황은 굳이 듣지 않아도 알 것 같다.
일선 병원의 이 같은 실정을 아는지 모르는지, 지난 23일 병원신임위원회에선 올해도 정부의 전공의 감축 정책에 따라 각 전문과목별로 전공의 수를 대폭 줄였다.
정부의 정책 기조는 당초 정한대로 2017년도까지 이어질 예정이다. 다시말해 각 수련병원의 전공의 감축이 앞으로 3년 간 지속될 것이라는 얘기다.
지금도 전공의 한명이 수십명의 환자를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 3년 후에는 어떻게 될까. 특단의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수련병원들의 불만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이쯤에서 잠시 관점을 바꿔 생각해보자.
수련병원 입장에서도 할 말이 많겠지만, 또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면 그동안 전공의를 값싼 의료인력으로 취급해왔던 수련병원은 가능한 빨리 인력운영 기조를 바꿔야 할 때가 됐다.
전공의 수는 점점 줄어들고 최근 정부가 전공의 수련환경 실태조사 결과에 따른 패널티 부과를 염두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전공의를 남아도는 인력으로 생각했다간 의료공백을 감당하기 힘들 것이다.
결국 돈, 수가가 문제다.
수련병원은 늘 저수가를 핑계로 전공의를 값싼 인력으로 활용할 수 밖에 없다고 말한다. 수가는 낮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생존하려면 병원에 지속적인 투자는 해야겠고, 그러다보면 또 예산이 부족하니 전공의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사실, 수련병원도 원가 이상의 수가를 인정받고 정부가 전공의 수련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준다면 위의 사례처럼 전공의 한명이 수십명의 환자를 책임지도록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전공의 대신 전문의를 채용해 응급실 진료를 맡길 것이고, 전공의는 값싼 의료인력이 아닌 수련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전공의 관련 제도는 전공의를 위한 정책만 있을 뿐 이를 가능하게 하는 수련병원은 위한 정책은 없다.
수련병원은 빚을 내서 운영하는 상황에서 전공의 수련환경이 좋아질 리 만무하다.
이제 정부도 수련병원을 배제한 전공의 관련 정책은 성공하기 어렵다는 사실을 받아들일 때가 됐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