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비밀번호 변경안내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으로 개인정보를 지켜주세요.
안전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3개월마다 비밀번호를 변경해주세요.
※ 비밀번호는 마이페이지에서도 변경 가능합니다.
30일간 보이지 않기
  • 전체
  • 일반뉴스
  • 오피니언
  • 메타TV

GC녹십자,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 품목허가 신청

메디칼타임즈=문성호 기자GC녹십자는 질병관리청과 공동 개발한 탄저백신 'GC1109'에 대한 품목허가신청서를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에 제출했다고 1일 밝혔다.'GC1109'는 LF(lethal factor, 치사인자), EF(Edema factor, 부종인자) 등 2종류의 독소 성분을 세포 내로 전달해주는 방어항원(Protective Antigen, PA)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만들어 낸 백신으로, 식약처의 품목허가를 받으면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재조합 단백질 탄저백신이 된다.탄저균에 의해 발병하는 탄저는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1급 법정감염병으로, GC녹십자는 생물테러 등 국가위기 상황에 대비하고자 지난 2002년부터 질병청의 연구용역사업을 통해 탄저백신 개발을 진행해왔다.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지난 임상 2상 결과 탄저백신 접종 그룹에서 탄저균 독소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항체가 충분히 생성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약물이상반응 및 예측된 이상사례 발현율이 두 그룹간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등 백신의 면역원성과 안전성이 확인된 바 있다.허은철 GC녹십자 대표는 "이번 탄저백신의 국산화 도전은 백신주권 확보 및 국가 공중보건 안보 증진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2023-11-01 11:52:28제약·바이오

생물테러 위험성 커지는데…예산은 10년간 감소

메디칼타임즈=김승직 기자최근 질병관리청의 생물테러 감염병 대응 예산이 10년 동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물테러 대비 및 국가안보 대비태세에 큰 공백이 생길 위험성이 제기된다.26일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실은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10년간 생물테러 대비대응 역량강화 위한 비축물자 확보 예산' 자료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최근 10년 동안 예산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약 133억 원의 예산액은 2023년 절반에 가까운 76억 원 수준으로 감소했다.최근 질병관리청의 생물테러 감염병 대응 예산이 10년 동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로 이종성 의원이 요구한 타국과의 비교 현황 자료에 대해 질병관리청은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 모두 비공개 자료인 관계로 확인이 불가한 상황"이라고 답변했다.질병관리청은 생물테러에 대비한 비축물자 확보와 관련해 주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 생물테러 대비 및 종합대책에 따라 생물테러 등 국가 위기상황에 대비를 위한 생물테러 대비대응 역량강화 비축물자 확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구체적으로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와 감염병의 종류 고시 제4조를 근거로 ▲탄저 ▲보툴리눔독소증 ▲페스트 ▲마버그열 ▲에볼라열 ▲라싸열 ▲두창 ▲야토병 등 8종의 생물테러감염병에 대한 백신 및 치료제 등을 비축해야 한다.생물테러 감염병 유형과 생체징후 및 치사율특히 지난 7월 21일, '대만발 해외발송 유해물질 의심 우편물 연쇄 배송 사건'이 발생하면서 한국도 더는 생물테러로부터 안전한 나라가 아니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해당 사건은 별다른 피해 없이 단순 소동 정도로 마무리됐지만, 사건의 시행 방식과 규모에 우리나라가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던 점들이 노출되었다는 것.당시 장애인 복지시설에 배송된 대만발 국제우편물을 개봉한 시설 관계자 3명이 어지럼증과 호흡곤란 등을 호소하는 일도 있었다.또 비슷한 시기에 서울·인천·공주·제주·대전·경기·용인·경남 함안 등지에서도 관련 신고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접수된 바 있다.이 같은 생물테러의 위험성과 관련하여 세계보건기구(WHO)의 자료에 따르면, 20㎢에 크기의 도시에 탄저균 50kg이 살포될 경우 최대 수십만 명이 사망할 것이라고 예측된 바 있다. 두창 바이러스균 역시 10g으로 서울 인구의 절반인 500만 명을 10일 이내에 감염시킬 수 있어, 생물 병기의 파괴력이 핵무기만큼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질병관리청이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생물테러 감염병은 각각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고통스러운 생체징후와 함께 높은 치사율을 동반하고 있다. 여러 테러지원국들이 의도적으로 세균을 배양·생산해 무기화한 후 주변국을 위협하는 등 그 위험성이 국제사회에서 날로 강조되고 있다는 우려다.이와 관련 이종성 의원은 "국가안보에 중요한 생물테러 대비 의약품의 종류 및 비축 수량 확보 및 관리를 위해 질병관리청이 필수적인 예산을 확보하고, 비축을 위한 자원배분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2023-09-26 15:18:36병·의원

질병청 22년도 예산안 5조 편성…예방접종에 약 3조원

메디칼타임즈=이지현 기자 질병관리청은 내년도 예산안으로 5조 1362억원을 편성, 이중 예방접종과 코로나19 방역대응에 각각 3조 1530억원, 9878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는 전년도 예산안 대비 4조 1445억원 증가한 규모로 코로나19 백신접종과 방역대응 예산이 대폭 늘어나면서 417.9% 상승했다. 질병청이 국회 제출한 내년도 예산안은 ▲코로나19 백신의 안정적 수급과 원활한 예방접종 지속 실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대응 ▲상시 감염병 예방·관리 및 만성질환 관리체계 강화 ▲보건의료 R&D 확대 등에 중점을 뒀다. 「국민건강증진법」및「응급의료법」에 따라 기금관리주체가 보건복지부장관인 국민건강증진기금과 응급의료기금은 보건복지부에서 배정받아 사용하는 규모 ■코로나19 예방접종에 3조1530억원 먼저 질병청은 코로나19 백신접종에 총 3조 153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백신 도입에 2조 6002억원, 접종시행비로 4057억원, 이상반응관리에 120억원(피해보상 최개 4.4억원), 백신유통관리에 1280억원, 홍보 및 운영비 등 부대비용으로 71억원을 책정했다. 이와 더불어 22년도 부스터샷 및 학령기 신규접종을 위해 해외에서 mRNA백신을 8000만회분 구매하는데 2조 4079억원을 투입한다. 국산 백신도 하반기 임상3상이 본격화 될 예상으로 국산백신 1000만회분 잔금으로 1920억원의 예산을 지원한다. ■코로나19 방역 대응에 9878억원 22년도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대응을 위해 편성한 9878억원의 예산은 진단검사비 등이 쓰인다. 일단 선별진료소 및 임시선별검사소 등 코로나19 진단 검사비용을 지원하는데 4960억원을 투입하고 코로나19로 입원·자가격리자의 생활지원비 및 유급휴가비로 2,406억원의 예산을 투입힌다. 이와 더불어 코로나19 확진환자 급증에 따라 중증, 경·중등증 치료제 및 경구용 치료제를 구입하는데 417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개인보호구 등 방역비축물품을 구축, 지원하는데 660억원 책정했다. 이밖에도 장례비 지원에 83억원, 격리입원치료비 지원으로 237억원,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조사·분석에 34억원, 임시생활시설 7곳 운영에 416억원, 선별진료소 지원에 391억원, 감염병전문 콜센터 운영에 190억원, 신종감염병 국가격리시설 운영에 58억원을 각각 편성했다. ■신종감염병 선제적 대응시스템 구축 질병청은 대규모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에 대비한 권역별 감염병 전문병원 1개소 추가 확대(4→5개), 공사비 및 설계비를 산정했다. 이와 함께 지자체의 역학조사 능력 배양을 위한 역학조사 체계를 고도화하는데 3억원, 감염병 예측 모델 개발 및 역학감시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존 3억원에서 6억원으로 증액했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281개) 유지비도 기존 33억원에서 37억원으로 소폭 확대했다. ■상시 감염병 예방·관리 체계 질병청은 코로나19 이외에도 상시 감염병 관리에도 예산안을 편성했다. 최근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대상 확대로 해당 예산을 확대하고 권역 내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및 감염병 검사분석 거점 기능을 강화하는데 14억원을 신설했다. 이와 함께 결핵안심벨트 참여 기관을 기존 12곳에서 14곳으로 늘리고 노숙인 결핵시설(미소꿈터) 운영에 기존 2.7억원에서 3.3억원으로 결핵요양시설(대구요양원) 운영 지원도 기존 2억원에서 3.4억원으로 확대했다. 에이즈 및 성병예방 차원에서 HIV 감염인 상담사업 참여의료기관을 확대(26→28개소)하고 고위험군 대상 자가검사키트(1만개) 지원 3억원 새롭게 책정했다. 또한 국내 의료기관 의료관련 감염관리 실태조사를 기존 병원 1000여곳에서 요양병원 및 의원 3만4,000여곳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중소병원 대상 의료관련 감염관리 네트워크도 10곳에서 17곳으로 확대한다. 이어 신종감염병 발생 및 확산 등에 대비한 방역통합정보시스템 구축에 23억원, 역학조사통합정보시스템 유지관리에 19억원의 예산을 신설했다. 원인불명감염병 실험실 분석체계 강화를 위한 병원체 감시대상 병원을 기존 10곳에서 20곳으로 늘리고, 병원체 유전자정보 통합DB 구축을 위한 ISP 수립에 2억원을 신설, 생물안전 시설 관리자 및 고위험병원체 취급자 대상 실습 교육시설 구축에 6억원을 새로 편성했다. ■근거중심 만성질환 관리체계 강화 질병청은 퇴원손상심층조사 참여병원을 기존 190곳에서 250곳으로 확대하고 소지역(읍·면·동)간 건강격차 원인규명 및 해소를 위한 시범지역도 기존 4곳에서 6곳으로 늘린다. 또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도 92억원에서 102억원으로 증액한다. 이와 더불어 희귀질환 대상을 1,014개에서 1,086개로 확대, 그에 따른 의료비 지원을 324억원에서 354억원으로 확대한다. 또 비감염성 건강위해 조사·대응, 중독 심층실태조사, 건강영향평가 모형개발, 손상예방관리 등 건강위해 관리체계 구축에 7억원 신설했다. ■보건의료 R&D 연구 인프라 강화에 1344억원 질병청은 코로나 이후 보건의료 R&D연구 인프라 강화에 1344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등 신변종 감염병 대응 신속 개발을 위한 mRNA 백신 플랫폼 선도 기술 도입 등 인프라 구축에 73억원을 신설하고 mRNA 백신 등 효능평가 지원에도 50억원을 새롭게 책정했다. RNA백신 실용화를 위한 국내 제약사 기반의 기술·융합형 비임상연구에 67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코로나 등 신·변동 감염병과 급·만성 감염병 관련 기술 확립에 140억원의 예산을 신설했다. 이어 민간개발기피 백신(생물테러 등 국가안보 대응 및 유행하지 않는 미래대응 백신 등) 공공개발 연구에 40억,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국립감염병연구소 內) 관리 및 운영에 10억원을 각각 편성했다. 이와 더불어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등 주요 만성질환 중재기술 개발 예산으로 기존 44억원을 78억원으로 증액하고 고령화 대응 뇌질환연구 및 뇌질환 연구기반 조성 예산도 기존 48억원에서 64억원으로 확대했다.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은 "2022년 정부 예산안은 개청 이후 첫 편성한 것"이라며 "국회 심사과정에서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1-08-31 16:18:53정책

정춘숙 의원 "야당, 전문인력 예산 삭감하고 딴소리"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우한 폐렴으로 불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전문인력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야당의 검역인력 증원 예산을 지속 삭감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보건복지위)은 30일 보도자료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국내 유입으로 4명의 확진자와 183명의 유증상자(1월 29일 기준)가 나타나 많은 국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지난 3년간 국회는 정부가 올린 검역인력 증원 예산을 계속 삭감했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 검역소의 인원은 2019년 기준으로 453명에 불과해 1인당 약 10.5만명의 검역을 책임지고 있었다. 입국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번에 3명의 확진자가 입국한 곳이기도 한 인천공항의 검역 인력도 현재 165명에 불과하다. 정춘숙 의원은 "문재인 정부는 2017년 7월 ‘인천공항 제2터미널 개항 관련 검역인력 44명’ 뿐 아니라 기존 인천공항 등에서 필요한 현장검역인력 27명’의 증원예산을 반영한 2017년 추가경정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당시 야당은 재정부담 등을 이유로 공무원 증원에 반대하여 역학조사관 등 각급 검역소 현장검역인력 27명의 예산을 전액 삭감시켰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018년 예산(안)에도 보건복지부가 현장검역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현장검역인력 45명의 증원예산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야당의 반대로 국회는 정부가 요청한 인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0명만 증원하는 것으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고 덧붙였다. 2019년 예산(안)에도 보건복지부가 현장검역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현장검역인력 22명의 증원예산을 국회에 제출했으나, 3명이 삭감된 19명만 증원하는 것으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가 발생한 중국 등 오염지역 관리를 위한 검역 등을 위해 검역소에 필요한 적정인원은 몇 명일까. 질병관리본부가 정춘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상시검역 외 오염지역 등 위험지역 관리를 위한 타깃검역 인력 등을 위해 1차적으로 필요한 검역소 인력은 총 533명으로 현재(453명)보다 약 80명이나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에 3명의 확진자가 입국한 인천공항의 검역 인력은 현재보다 20명이나 더 필요하다. 교대제 검역근무 인력 및 유증상자 발생대응, 생물테러 상시출동 등 특별전담검역 인력이 포함된 최종적으로 필요한 검역소 인력은 총 739명으로 현재(453명)보다 약 286명이나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공항의 경우는 151명이나 더 필요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 복지부 검역인력 관련 예산안 변화. 정부는 그동안 신종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해외 감염병 유입을 막는 등 국민의 안전을 위해 검역인력 증원을 요구했지만, 오히려 국민의 대표인 국회가 걷어차고 있었던 셈이다. 정춘숙 의원은 "해외유입인구 증가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같은 해외질병들의 유입가능성은 매년 높아져가고 있어 우리 국민의 건강위험도 매년 높아져 가고 있다. 문재인 정부는 현장검역인력에 대한 증원을 수차례 국회에 요청했지만, 그때 마다 야당에서는 공무원 확충에 따른 재정부담을 이유로 계속해서 삭감시켜 왔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에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터지니까 이제 와서 ‘검역 인력이 부족하다면 당장 경찰과 군 인력을 최대한 동원해야 한다’는 유체이탈식 화법을 구사하고 있다. 현재 근무하고 계시는 검역인력들의 헌신과 노고로 신종코로나바이러스 유입을 최대한 막고 있지만, 검역인력의 충원은 반드시 필요하다"며 야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주문했다.
2020-01-30 09:24:26정책

한-미 질병관리본부, 질병관리 협력 양해각서 체결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21일 "오송 본부에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미국 보건부 차관 에릭 하간(Eric Hargan))와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해각서에는 공중보건위기대비 및 대응, 신종감염병(특히, 바이러스성출혈열)의 감시 및 통제, 생물테러 대응, 실험실(검사 및 분석) 역량 강화, 항생제 내성, 예방접종 정책,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보건의료인력 교육 등 양국의 최근 질병예방관리 분야의 상황과 관심 분야 등 협력 범위를 구체적으로 담았다. 특히 글로벌 보건안보를 위한 국제보건규약(IHR, 2005)*에 따른 감염병 핵심역량 강화 등 공중보건위기대응 협력 분야를 세부적으로 명시하여 구체적인 협력 의지를 다졌다. 한국과 미국의 질병관리기관 간 양해각서 체결은 실험실 네트워크 협력, 인력파견 및 정보교류 등 기존의 협력 경로를 체계화하고, 질병 예방 및 관리를 위한 협력의 첫 골격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앞으로 한-미 합동훈련, 정책대화 및 세부 전문분야 실행계획 구축, 국제 보건안보구상(GHSA) 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국 보건부 및 주한 미국대사관 대표단은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실(Emergency Operations Center, EOC)과 인체자원은행을 방문하여 운영 현황과 국내 연구자원 보유 및 관리 상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서로의 경험과 의견을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오는 29일 실시할 예정인 한-미 감염병대응 합동훈련(에볼라바이러스병 발생 대비)은 양국 간 신종 감염병 대응경험을 공유하고, 국내 유입감염병 대비·대응 능력을 강화하는 계기로 이번 양해각서 체결 이후 첫 실질적인 협력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국제 보건안보 중요성이 부각되는 국제상황에서 두 나라 간에 긴밀한 공조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고, 질병예방 및 관리의 국제적 공통 목표를 위한 협력을 함께 해 갈 것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에릭 하간(Eric Hargan) 미국 보건부 차관은 "양국 질병관리본부 간 양해각서 체결을 매우 기쁘게 생각하고, 한국은 보건안보에 있어 매우 든든한 파트너"라며 "양해각서는 양국이 앞으로 함께 계속해서 이루어 나갈 것들을 잘 보여준다"고 화답했다.
2019-10-21 16:13:13정책

"셀트리온, 한미약품 사례보라… 보건의료 잠재력 확신"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임상의사로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에서 8년간 근무한 경험을 활용하기 위해 원장직에 지원했는데, 생각만큼 잘 되지 않았다. 하지만 우리나라 보건의료 연구 분야의 무한한 잠재력과 가능성은 있다고 확신한다." 국립보건연구원 박도준 원장(사진)은 5일 전문기자협의회와 간담회에서 2년 8개월 동안 원장직을 수행하면서 느낀 소회를 이 같이 밝혔다. 그는 내년 1월 보건연구원장직 3년 임기를 마치고 서울대병원 내과 교수로 복귀할 예정이다. 이날 박도준 원장은 "그동안 연구 인프라가 축적돼 셀트리온과 같은 성과가 나타났다. 보건의료 산업화를 위해서는 10~20년이 걸리는데 우리나라도 축적된 보건의료 인력과 자원이 성과로 확산될 때가 됐다"면서 "다만, 너무 산업화만 가는 것을 잡아주는 정부의 역할도 필요하다"며 임상 전문가로서 소신을 피력했다. 그는 "정부는 창조를 강조하는데 보건의료 분야에서 판을 바꿀 정도의 큰 연구는 많이 시간이 들어간다. 앞으로 좀 더 길게 보고, 긴 호흡으로 가야 한다"며 성과 중심 예산 지원에 아쉬움을 표했다. 박 원장은 일례로, 미국 NIH 근무 시절 스승의 일화를 전했다. 자신의 스승인 미국 임상 의사는 30년 동안 한 가지 연구에 매진해 새로운 보건의료 영역을 창출했다고 제자 중 노벨의학생리상 수상자들도 배출했다는 것. 박도준 원장은 "미국 NIH는 산업화와 무관하거나 생소한 분야라도 연구자를 믿고 지속적으로 지원한다"면서 "우리나라 경제도 성장한 만큼 보건의료 연구에 10년, 20년 장기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그동안 축적된 한국인 줄기세포와 유전체 분석 결과를 제약업체에도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박도준 원장은 "연구원 내 실험실은 주로 대학병원 교수들도 사용하는 데 업체든 연구소든 신청하면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면서 "특히 제약업체의 신약 개발을 위해 관련 데이터를 업체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보건의료 인력과 연구결과 그리고 파이프라인을 보면, 셀트리온이나 한미약품 같은 사례가 매년 한 건 이상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조만간 착공되는 공공백신 개발지원센터도 국민건강과 안보에 반드시 필요하나 상업성과 위험성으로 민간 개발이 어려운 신종 감염병이나 생물테러 백신 개발에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의 2019년 연구개발 예산안은 719억원으로 2015년 460억원과 2016년 433억원, 2017년 518억원, 2018년 605억원 등에 비해 최대 규모이다. 박도준 원장은 "현재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5160억원 규모의 치매극복 연구개발사업(복지부, 과기부 공동 프로젝트) 그리고 미세먼지 건강피해 예방과 중개기술 연구 등이 연구원의 중점 추진과제"라면서 "국회에 계류 중인 첨단 재생의료법과 직결된 임상시험용 줄기세포 치료제 제조시설 지원도 현안과제로 임상 연구 발전을 위한 법적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끝으로 "국립보건연구원장직을 수행하면서 정부와 언론의 역할을 실감했다. 아쉬운 부분도 있지만 재임 동안 한국 보건의료 연구 분야의 무한한 가능성을 엿봤다"고 재차 강조했다.
2018-12-06 05:30:55병·의원

복지부 "외상센터 의료인 인건비·수가 대폭 개선"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이국종 여파로 권역외상센터 의사와 간호사 인건비를 비롯해 외상체계 의료수가가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또한 공공의료 확충 차원에서 공중보건장학제도 재추진과 의료인 양성 방안 등 종합대책이 상반기 중 발표된다.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는 23일 오후 2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수산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등 5개 부처 공동으로 '국민안전-국민건강 확보' 주제로 2018년도 업무계획을 이낙연 국무총리에게 보고했다. 복지부는 '생명, 건강에 대한 욕구는 가장 기본적인 것인 만큼 국가가 각종 질병과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삶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켜 나가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이용하는 필수의료 강화, 국민이 안심하는 의료서비스 제공, 국민 생명 건강 위험 예방 그리고 범정부 협력 강화 및 대응체계 제안 등 5개 목표를 제기했다. ◆감염병 대응역량 강화 질병관리본부 긴급상황실을 상시 운영해 365일 24시간 감시 대응과 위기 시 민관 합동 즉각대응팀 출동 등 신속 대응과 위기소통을 강화한다. 국가지정 음압격리병상을 지속적으로 확충(2017년 188개-2018년 199개)하고 시도별 접촉자 격리시설 확보(17개 시도 각 1개소), 고위험 신변종 감염병 및 생물테러 백신 자체 개발과 국가 감염병 백신 연구개발(R&D) 전략 로드맵 수립(상반기) 등이 추진된다. 국립중앙의료원을 중앙으로 권역별 감염병전문병원(호남권 조선대병원 지정)을 설치해하는 한편, 감염병관리위원회 활성화와 항생제 바로쓰기 운동본부 등을 활용한 민관 협력을 강화한다. 결핵 후진국 탈피를 위한 백신개발과 전문치료센터 건립이 추진된다. 의료기관과 어린이집 종사자와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등 약 50만명 대상 잠복 결핵 검진 실시와 2020년 BCG 백신 국산화 추진(2018년 임상 1상 완료 계획), 산후조리원과 의료기관 등 결핵 역학조사(2018년 4000건), 결핵환자 전수조사, 다제내성 결핵관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결핵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를 실시하고 목포병원에 내성결핵 전문치료센터 건립 등을 통해 2022년까지 결핵발생률을 현재 50% 수준(인구 10만명당 2016년 77명에서 2022년 40명)으로 감소시킨다는 목표다. 국가예방접종을 확대해 현재 생후 6~59개월 이하(190만명)와 65세 이상(726만명)에서 오는 10월부터 초등학생(329만명), 내년도 중고등학생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학생과 취약계층 예방접종 확인 관리와 백신 접종자의 이상반응 신고 보상 등 안전관리체계도 강화한다.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이용하는 필수의료 강화 우선, 권역외상센터 운영을 현 10개소에서 13개로 확대하고, 의사 인건비 지원을 1인당 1억 2000만원에서 1억 4400만원으로 확대하고, 간호사 인건비도 신규 지원한다. 올해 상반기 중 외상 전문인력 양성과 의료수가 개선, 유관기관(복지부와 소방청 등) 보유헬기 공동 활용, 권역외상센터 역할 수행에 따른 적절한 보상 및 제재 시행 등을 마련해 발표한다. 법 제정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구축을 13개소에서 14개소로 확대하고, 오는 2월 중 종합계획(2018~2022년)을 수립해 고위험군 발굴과 관리, 치료 재활 등 전주기 관리체계를 마련한다.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현 36개소에서 39개소 늘리고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도 추가 선정(9개소-13개소), 닥터헬기 1대 추가 배치와 이착륙장 확대 및 응급환자 분류체계 개선 시범사업 추진(소방청 합동, 2018년 상반기)한다. 재난의료체계 구축을 위해 재난거점병원으로 지정된 전국 40개소 권역응급의료센터 중 6개소에 재난의료지원팀을 3개팀 이상 구성하고 재난대응 시설 및 장비를 확충한다. 국립정신건강센터 내 국가 재난트라우마센터를 설치(2018년 상반기)하고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 24시간 재난응급의료상황실 가동 그리고 대형재난 장기화에 대비해 현장 수술 및 중환자 관리가 가능한 이동형 병원(최대 100병상)을 첫 설치한다. 의료계가 주목하는 공공보건의료 확충은 지역거점병원과 의료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췄다. 취약지 지역거점병원 모델을 개발해 내년도 시범사업을 수행해 대학병원과 지역거점병원, 보건소 간 네트워크를 통해 인력과 노하우를 연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 공공의료인력 양성 차원에서 공중보건장학제도를 재추진하고 지방의료원 등이 대학병원 의료인력을 파견 받을 경우 인건비 지원과 상호 교류(50명, 50억원) 및 취약지 등에서 근무할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별도 마련한다. 분만 환경 조성을 위핸 분만 취약지 산부인과(37개소)와 의료 취약지 소아청소년과(6개소) 지원과 신생아 집중치료실 운영(445병상)과 고위험 산모 통합치료센터(17개소)를 구축 운영한다. 복지부는 상반기 중 공공보건의료 종합대책을 수립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이 안심하는 의료서비스 이대목동병원 신생아 사망사건에서 지적된 원인불명 다수 사망 건 신고 의무화 및 보고체계 마련, 수사기관과 협조체계 매뉴얼, 신생아중환자실 세부감염관리지침, 노후장비 일제 정비,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의료기관 평가인증에 신생아중환자실 감염관리 포함 등을 추진한다. 인력 충원과 감염관리 활동, 필수 소모품 및 일회용 치료재료 수가보상 등을 병행한다. 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와 관련 학회 등 민관합동 TF를 구성해 2월 중 중환자실과 수술실, 응급실 등 실태조사 이후 6월 중 종합대책과 세부과제를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국민생명 보호, 건강 위해요인 예방 전 사회적 참여를 통한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을 추진한다. 우울증 검진 확대와 정신건강복지센터 상담인력 확충과 찾아가는 마음건강버스, 마음건강 주치의 확대 추진, 응급실 방문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확대 등을 추진해 OECD 자살률 1위 오명을 탈피한다는 목표다. 암 검진도 강화된다. 폐암 검진 본사업 도입을 목표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암 검진 국민 신뢰도 개선을 위해 판정기준 개선과 판정의사 실명제 도입, 암 검진 사후관리 등 질 향상 방안을 마련한다. 건강검진 대상을 골다공증 경우, 60세(여성)에서 54~66세로, 인지기능장애는 66~70세, 74세에서 66세 이상 2년 1회, 생활습관평가(음주, 흡연, 비만, 영양, 운동)은 40~66세에서 40~70세 등으로 확대한다. 흡연과 비만 감소를 위한 정책은 지속된다. 담뱃갑 경고그림을 기존 10종을 교체하고, 궐련형 전다담배에도 표기 추진 등 비가격 금연정책을 지속 추진하고, 금연 의지가 높은 장기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금연상담과 치료지원을 연계한다. 초등학교 돌봄 교실을 활용한 건강 식생활과 신체활동 실천 프로그램 보급 확대 등 비만 예방교육 강화와 직장인 대상 비만 감소 프로그램 유도와 우수기업을 건강친화기업으로 지정, 미디어 협력을 통해 음주폐해 예방 등 절주 문화 확산도 추진한다. ◆국민안전과 건강을 위한 범정부 대응체계 제안 복지부는 국민건강 위협 요인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범정부 'One Health'를 제언했다. 세부적으로 감염병관리위원회에 '항생제 내성 전문위원회'를 설치해 범부처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감염병 연구개발도 7개 부처 협력 R&D 사업으로 2022년까지 400억원을 투입하고, 국제협력 차원에서 WHO와 GHSA 등 국제사회에 One Health 확산에 노력하는 방침이다.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건강관계장관회의(가칭)와 관계부처 실무협의체 등을 통해 이슈 발생 시 신속한 의사소통과 대응 및 합동조사팀 역학조사 그리고 법과 제도 개선 등 범부처 대응체계 강화를 제안했다. 복지부 강도태 보건의료정책실장과 배석한 과장들은 22일 출입기자 사전 설명회에서 "암검진 판정의사 실명제는 기록지에 기재하는 것으로 국립암센터 질 관리 위원회 수차례 논의를 거쳤다. 별 다른 이견이 없었다"면서 "의사인력과 간호인력 양성은 종합적 봐야 할 문제로 아직 정해진 방향은 없다. 적정인력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날 업무보고에는 감염병과 자살예방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복지부 장관 등과 토론을 펼치는 새로운 이벤트도 마련됐다.
2018-01-23 14:00:00정책

"실패 위험? 보건의료 연구 보건연구원은 가능"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대학병원이나 제약사는 보건의료 연구에 한계가 있으나 국립보건연구원은 민간이나 기업에서 실패위험이 높은 연구가 가능하다." 국립보건연구원 박도준 원장은 20일 오송에서 가진 전문기자협의회 간담회에서 보건의료계가 연구력과 예산을 지닌 연구원을 십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박도준 원장은 과기부와 식약처, 농림부, 복지부 등이 함께한 다제내성균 관련 연구 회의에 참석했다. 박도준 원장은 21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올해 성과와 내년도 계획을 밝혔다. 박 원장은 "이대목동병원 사태로 관심이 높아진 다제내성균 연구를 위해 다부처 협의를 진행 중이다. 보건연구원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당부분 진척됐다. 과기부를 통해 400억원 규모의 예산이 배정되면 내년부터 다제내성균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내분비내과 전문의인 그에 따르면, 항생제 내성균은 인체 내 있는 0.5~1.5kg 세균이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내성균이 활성화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보건연구원이 주목하는 것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은 창의적 연구이다. 박 원장은 "올해 첫 도입한 창의적 연구는 연구원 내 2개 정도의 과제를 선정해 진행 중에 있다. 연간 2억~3억원이 지원되며 해당 연구는 실패 리스크가 크지만 성공 시 국민건강과 국부창출에 기여할 주제를 선정했다. 연구자들이 단기간 성과에 연연하지 않도록 독려 중으로 기대효과를 보면서 외부 과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임기 1년 8개월째를 맞은 박도준 원장의 고심은 전문인력 확보이다.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전체 인원 370여명 중 의사 출신은 원장을 포함해 4명에 불과하다. 오송에 위치한 국립보건연구원 전경. 박 원장은 "연구예산은 부족하지 않은데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연구자들은 연봉이 낮아도 연구환경만 좋으면 지속적으로 연구를 하고 싶어한다"고 말했다. 국립보건연구원의 내년도 예산 1089억원 중 연구개발(R&D)는 605억원으로 처음으로 600억원을 돌파했다. 내년도 사업 중 공공백신개발 지원센터(2020년 완공 예정)과 국가병원체자원은행(2020년 완공 예정)도 역점 사업이다. 박 원장은 "국민건강과 안보에 반드시 필요하나 낮은 상업성과 위험성으로 민간개발이 어려운 신종 감염병과 생물테러 백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라면서 "이미 결핵 백신과 SFTS(중증혈소판감소증후군) 백신 후보물질을 가지고 있다"며 연구개발에 대한 자신감을 피력했다. 박도준 원장은 "대학병원에서 연구할 때는 자기 분야만 보나 국립보건연구원은 보건의료 연구 전체를 본다. 병원이나 의과대학, 기업과 경쟁할 생각이 없다. 연구원은 항상 열려 있으니 언제든 적극 활용해 달라"라며 의료계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2017-12-21 05:00:55정책

박능후 장관, 글로벌보건안보 한국 역할 중요성 강조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보건복지부 박능후 장관이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우간다 캄팔라에서 개최된 글로벌보건안보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이하 GHSA) 고위급회의에 참석하여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GHSA는 에볼라․메르스 등 신종감염병의 유행, 항생제 내성균, 생물테러 등의 생물학적 위협에 전 지구적이고 포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14년 미국 주도로 출범했으며, 현재 총 61개 회원국과 9개 국제기구가 참여하고 있는 보건안보 분야의 가장 중요한 국제협의체이다. 우리나라는 출범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서울에서 총회격인 고위급회의를 개최해 올해는 집행이사회격인 선도그룹회의 의장국을 수행하고 있다. 미국 백악관 차관보와 보건의료 협력 회담 모습. GHSA 출범 이후 최초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개최된 고위급회의로, 50개 참여국, 국제기구, 민간단체 등을 포함하여 총 600여명이 참여하였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대표들이 다수 참석하여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지원을 요청했다. 특히 회의 기간 중 개최국인 우간다에서 에볼라와 유사한 감염병인 마버그열 환자가 발생․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 보건안보 강화를 위한 협력 필요성을 더욱 절실하게 실감하게 됐다. 취임 후 첫 국외출장으로 이번 회의에 참석한 박능후 장관은 GHSA 선도그룹회의 의장국의 수석대표로서 회의 첫 날인 25일에 ▲GHSA의 나아갈 방향에 대한 발표 ▲개회식 축사 ▲도상훈련(Simulation Excercise) 등에 참석했다. 박능후 장관은 요웨리 무세베니 우간다 대통령 등이 참석한 개회식에서 축사를 통해 보건안보 위협에 대한 국제사회 공조강화를 강조하는 한편, 2018년에 종료되는 GHSA의 연장을 제안하여 미국을 비롯한 많은 참석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냈다. 또한 GHSA의 나아갈 방향 발표에서, 올해 8월 우리나라가 수검한 합동외부평가에 대한 각 국가의 관심과 참여를 독려하는 한편, 보건안보 위협에 대비하기 위한 다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농림, 국방, 환경, 식품 등 다양한 분야의 정부부처, 국제기구, 민간단체의 참여 필요성을 역설하여 큰 호응을 얻었다. 박 장관은 GHSA 선도그룹 회의 환영사에서 감염병 대유행이 고통과 방치의 악순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는 촘촘한 제도와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GHSA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선도그룹 회원국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박능후 장관은 ▲Yoweri Museveni 우간다 대통령과 양자면담 ▲Brenda Fitzgerald 미국 질병관리본부장 면담 ▲Tim Zimmer미국 백악관 국제안보 및 생물테러 대응 차관보 ▲Ummy Ally Mwalimu탄자니아 보건부 장관 등과 양자면담을 실시했다. 미국 질병관리본부장과는 감염병 대응, 보건안보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이하 ODA), GHSA 등에 대한 양국 간의 협력강화 필요성에 공감하였으며, 특히 내년 평창동계올림픽에 대비하여 감염병 및 생물테러 대응에 대한 양국의 긴밀한 공조 및 협력방안을 재확인했다. 미국 백악관 차관보와는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양국 간 보건의료 분야 협력 필요성을 확인하고, 특히 지난 양국 정상회담 공동선언(6월 30일)에 명시된 공동 암연구, GHSA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박능후 장관은 "한국이 메르스 대응경험을 반면교사 삼아 2015년 제2차 GHSA 장관급 회의를 개최함에 이어 올해 GHSA 선도그룹 의장국으로서 국제사회에서 보건안보 분야의 리더로서 역할하고 있다"면서 "더 많은 국가와 국제기구가 감염병, 항생제 내성, 생물테러 등 국제보건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이 앞장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우리나라는 이번 고위급회의까지 총 4차례의 선도그룹회의를 개최했으며, 마지막 회의는 다분야 협력 강화를 위해 식량농업기구(FAO) 총회와 연계하여 오는 12월 로마에서 개최할 예정이다.
2017-10-29 11:30:49정책

양승조 의원, 공공백신개발센터 설립 법안 발의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감염병 백신 개발을 위한 공공백신개발센터 설립을 의무화한 법안이 또 다시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양승조 의원(천안시병, 보건복지위원장)은 지난 1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감염병 예방 및 관리 관련법 개정령안을 대표 발의했다. 양승조 의원은 "현재 필수예방접종 백신 17종 중 10종은 국내 생산이 불가능하며, 대유형 및 대테러 예방백신 4종 중 2종만 국내 생산이 가능한 실정"이라며 개정안 취지를 설명했다. 앞서 같은 당 권미혁 의원(보건복지위)은 지난 6월 사스와 신종플루, 메르스 사태에 대비해 백신과 퇴장방지의약품, 희귀의약품 등 필수 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공공제약사 설립 관련 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 보건복지부 장관은 감염병 예방 및 대응을 위해 공공백신 개발과 지원을 위해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를 설립 운영하는 조항을 신설했다. 양승조 의원은 "신종플루와 메르스 사태를 겪으면서 백신 개발을 통해 백신주권을 확보함으로서 국가방역체계를 확립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됐다"면서 "필수 예방접종 백신과 생물테러 대비 국내 생산이 가능한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설립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2017-08-02 15:38:31정책

자나미비르 등 국가필수의약품 17개 추가 지정

메디칼타임즈=최선 기자 신종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자나미비르 캡슐제' 등 17개 제품이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추가 지정된다. 4일 정부(국무조정실, 식약처, 교육부, 국민안전처, 국방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신종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자나미비르 캡슐제' 등 17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추가 지정, 총 126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관리하게 됐다고 밝혔다. 국가필수의약품이란 질병 관리, 방사능 방재 등 보건의료 상 필수적이나 시장 기능만으로는 안정적 공급이 어려운 의약품으로서 보건복지부장관과 식약처장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해 지정하는 의약품이다. 이번 추가 지정은 지난 6월 30일 '2017년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협의회' 정기회의를 거쳐 결정됐으며, 추가 지정된 의약품은 전염병 유행, 생물테러 등 국가 비상 상황이나 방사선 방호 등 정책 목적상 필요한 것으로 공중 보건 위기상황에 국민 치료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지난해 12월에는 결핵치료제인 '카나마이신 주사제' 등 109개 제품을 '국가필수의약품'으로 지정했다. 현재 '국가필수의약품' 126개 제품은 필수예방접종 백신 20개 등 정부 정책목적 상 필수적인 의약품 71개과 응급 의료 상 필요한 해독제 21개 등 의료현장에서 필수적인 의약품 55개다. 식약처는 그동안 '국가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현장 의약품 수급 모니터링 센터 설치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실무협의회 상시 운영 ▲공급 중단 의약품의 특례수입, 기술지원 등을 통한 공급 중단 해소 등의 정부지원 정책을 추진했다. 우선 지난 6월부터 '국가필수의약품'의 수급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해 필요한 의료현장에 해당 의약품이 적기에 공급되도록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등 7개 전문단체에 '현장 의약품 수급 모니터링 센터'를 설치‧운영 중에 있다. 또한 공중보건 위기 대응 시 의약품의 신속한 도입, 응급 의료 현장에서 필요한 의약품 수요 대응 등을 위해 정부부처 공무원과 보건의료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국가필수의약품 안정공급 실무협의회'도 상시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결핵 치료제로 사용되는 '카나마이신 주사제' 등과 같이 공급 중단이나 우려가 있는 의약품에 대해 위탁제조, 특례 수입, 기술지원 등 적합한 지원방안을 추진,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지도록 조치했다. 식약처는 올해까지 관계 부처, 의료현장, 전문가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해 국가필수의약품을 확대하고, 국가필수의약품 목록을 정비, 확대할 계획이다.
2017-07-04 11:35:29제약·바이오

권미혁 의원, 필수의약품 공공제약사 설립 법안 마련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필수의약품 공급을 위한 공공제약사 설립 법안이 마련돼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권미혁 의원(보건복지위)은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가필수의약품의 공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는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등 신종감염병이 전파되면서 사회혼란을 겪었고 생물테러 위험, 지진, 방사능 유출 등 재난의 위험도 제기되는 등 공중보건위기상황의 가능성과 대비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약품 생산과 공급은 전적으로 민간과 시장에 맡겨져 있어 백신, 퇴장방지의약품, 희귀의약품 등 환자에게 필수적인 의약품도 시장상황이나 국제적 환경에 따라 공급이 중단되거나 거부되는 상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권미혁 의원은 "현재 공공제약시설은 복지부, 산자부, 농림부 등 정부부처가 가지고 있거나 건설 중이지만, 민간제약사 지원 등의 제한된 역할부여로 가동률이 30% 수준에 불과하거나 적자운영이 지속되어 민간에 위탁되는 등 비효율적인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개정안 취지를 설명했다. 개정안은 국무총리산하에 국가필수의약품관리위원회를 설치하고, 각 부처가 참여하도록 하여 공중보건위기상황 대응에 필요한 국가필수의약품을 선정, 신속 공급에 나설 수 있도록 하고, 부처 간 업무공유를 통해 국가재정이 소요된 공공제약인프라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명시했다. 또한 기존 정부소유의 제약인프라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일부 의약품 중 질병치료에 필수적이지만, 이윤이 낮아 민간제약사가 위탁생산을 거부하는 의약품은 국가가 설립한 공공제약사를 통해 공급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기후, 질병, 체질 등의 사유로 우리 국민들이 사용하는 의약품과 다른 의약품을 필요로 하는 해외원조의약품의 경우에도 더 이상 해외제약사에서 구입하여 원조하지 않고, 공공제약사를 통해 생산 공급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권미혁 의원은 "국가필수의약품의 공급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통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국가가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고, 의약품 해외원조에도 더 큰 기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7-06-13 13:15:35정책

식약처, 2017년 백신 자급률 50% 악셀 밟는다

메디칼타임즈=손의식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손문기)는 감염 질환 예방을 통해 국민 건강을 확보하고 생물테러 등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2017년 필수예방접종 백신, 대테러 백신 등 28종에 대한 국내 백신 자급율 50%를 목표로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 컨설팅 내용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27일 밝혔다. 이는 국내 백신 개발 및 생산기술 확보를 통해 지구 온난화와 글로벌화 등에 따른 감염병 발생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공중보건 위기 시 국민 보건 확보를 위한 것이다. 주요 지원 내용은 ▲백신개발 초기 단계 지원 강화 ▲업체 개발 현장 방문을 통한 맞춤형 문제 해결 ▲공공기관까지 ‘지원단’ 컨설팅 확대 등이다. 우선, 지원단 내 연구개발분과를 신설해 백신의 초기 개발연구에 대한 컨설팅을 강화한다. 백신 개발‧생산 등 현장 방문이 필요한 내용들에 대해서는 지원단이 업체를 직접 방문해 애로사항 등을 해소할 예정이다. 또한, 컨설팅 지원대상을 기존 국내 백신 제조업체에서 질병관리본부 등 공공기관까지 확대한다. 특히 올해는 소아마비백신, 소아장염 백신 등 23종 31품목에 대한 개발을 중점적으로 지원한다. 참고로, 지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지원단 컨설팅 등을 통해 세계 최초 세포배양 4가 인플루엔자 백신, 성인용 디프테리아‧파상풍 예방 백신 등 6종 제품을 국산화했으며, 2015년 440억원 수입대체 유발효과가 발생했다. 식약처는 "향후 2020년까지 백신 자급율을 70%까지 높이는 등 우리나라 백신 주권 확립을 위하여 국산 개발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2017-02-27 11:26:32정책

복지부 김강립 실장 제네바행 주목하라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보건복지부 김강립 보건의료정책실장(51, 행시 33회, 연세대)이 21일(현지 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글로벌보건안보구상(GHSA, 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고위급 회의를 주재했다. GHSA 회의는 신종감염병과 항생제 내성균, 생물테러 등 보건안보 위협에 대한 대응역량 및 국가 간 공조체계 강화를 위해 2014년 2월 출범한 국가 간 협의체로 2015년 서울에서 장관급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복지부 입장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올해부터 의장국으로 김강립 실장이 직접 회의를 주재하며 신종감염병 등 공중보건위기 관련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 보건부 대표자 의견을 조율했다. 보건의료정책관에서 보건의료정책실장으로 승진 후 첫 해외 출장이 고위급 회의 의장직이라는 권한과 책임이 부여된 셈이다. 전임인 권덕철 보건의료정책실장(현 기획조정실장, 55, 행시 31회, 성균관대)은 지난해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열린 GHSA 고위급 회의에 참석해 감염병 대응을 위한 국제적 공조체계 구축을 논의했다. 당시 권 실장은 2015년 한국의 메르스 경험을 통해 취득한 위기소통과 대응방안을 전달하고 한국은 2017년 공중보건 위기 대비 합동외부평가(Joint External Evaluation)를 받겠다고 공표했다. 김강립 실장의 특성을 감안할 때 회의 결과가 한국 보건의료 정책에 반영될 가능성이 크다. 일례로, 지난해 그가 일본을 방문해 의사-환자 간 원격의료와 요양병원을 둘러본 후 원격의료 필요성에 대한 자신감을 얻었다는 후문이다. 일본 방문 후 전문기자협의회 소속 기자들과 만나 일본 의사회 임원진 간담회를 통해 느낀 한국과 다른 상황과 가정간호 활성화 등 현지에서 느낀 부분을 한국에 접목하는 방안을 내비쳤다. 현재 진행 중인 입원전담전문의(일명 호스피탈리스트) 시범사업 역시 그가 보건의료정책관 시절 병원과 학회 등 의료현장 의견 청취 후 담당부서에 지시해 빠르게 진행됐다. 이번 제네바 회의도 마찬가지이다. 선진국 보건부에서 시행 중이거나 준비 중인 감염병 대응과 항생제 내성대책 그리고 비용 효과적인 의료정책을 한국 의료에 반영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의미다. 스마트 공무원으로 통하는 김강립 실장이 이번주 제네바 회의에서 귀국 후 어떠한 의료정책 보따리를 풀지 의료계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이다.
2017-01-23 11:59:07오피니언

의장국 복지부 "신종감염병 실천방안 강화하자"

메디칼타임즈=이창진 기자 타임즈 이창진 기자| (장관 정진엽)는 23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지난 21일(현지시각) 열린 전세계 9개국 및 5개 국제기구 관계자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글로벌보건안보구상 선도그룹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글로벌보건안보구상(Global Health Security Agenda, GHSA)은 신종감염병(에볼라, 메르스 등)의 유행, 항생제 내성균 및 생물테러 등의 생물학적 위협이 개별국가의 보건이슈를 넘어 전세계적 안보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대응역량 강화 및 국가 간 공조체계 구축을 위해 2014년 2월 출범한 협의체이다. 한국은 2015년 서울에서 고위급 회담을 개최하여 서울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번 선도그룹 회의(Steering Group Meeting)는 10개 선도국과 세계보건기구(WHO) 등 주요 국제기구가 GHSA의 주요 이행과제를 논의하고 공조방안을 협의하는 회의체로 2017년에는 우리나라가 의장을 맡게 됐다. 의장인 김강립 보건의료정책실장은 2017년도 의장국 수행계획을 발표했다.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고위급 회의를 주재하는 의장국 대표인 김강립 실장.(사진:보건복지부) 017년 GHSA 선도그룹 회의의 슬로건을 'Take Action'으로 제시하며 GHSA에서 논의하고 구상한 과제들이 올해는 실천으로 이어져 회원국 및 전세계의 보건역량이 한층 강화될 수 있도록 하자고 밝혀 참가자들의 호응을 얻었다. 또한 핵심과제로 ACE for GHSA를 제시하고 ▲행동계획 이행(Action Package) ▲각국의 역량강화(Capacity Building) ▲평가체계 구축(Evaluation)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것임을 천명했다. 회의는 ▲개회선언 ▲의장직 인계(인도네시아→한국) ▲2017년도 의장직 수행계획 발표 ▲주요 국제기구 발표로 시작했으며, 이어 한국이 제시한 핵심과제인 ACE를 세부세션으로 구분하여 세션별 주요 진행상황 및 향후 계획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한국은 올해 총 5회의 선도그룹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다음 회의는 5월 WHO(세계보건기구) 총회 일정에 맞춰 제네바에서 개최된다.
2017-01-23 10:20:59정책
  • 1
  • 2
  • 3
기간별 검색 부터 까지
섹션별 검색
기자 검색
선택 초기화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메디칼타임즈 홈페이지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방법을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