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의료계의 대화 기조가 형성되면서 대한의사협회가 의대생들이 돌아올 최소한의 환경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이들이 실제 복귀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요구다.
10일 대한의사협회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의학 교육 붕괴 장기화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다만 김민석 국무총리와의 회동과 보건복지부 차관의 의협 방문 등 의정 소통 재개로 의대생이 돌아올 최소한의 환경이 갖춰졌다는 평가다. 이 회동에서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문제를 풀어나가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
의협은 의대생 복귀를 '국가의 책무'로 규정했다. 의대생은 우리나라 보건의료의 미래를 책임질 인재들이라는 이유에서다.
이들이 안정적인 교육 환경 속에서 성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전문 의료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는 것은 사회와 국가의 의무라는 주장이다.
또 의협은 현재의 의료 공백이 장기화되면서 의대생들의 학업 중단이 장기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깊은 혼란과 불안 속에서 학업을 이어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대로라면 우리 의학교육 체계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와 함께 의협은 교육 정상화를 위해 각 대학과 정부가 협조해 줄 것을 촉구했다. 대학은 복귀한 학생들을 제대로 가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새롭게 짜야 하고, 정부 역시 지금까지의 입장을 바꾸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요구다.
의협은 "정부가 이제는 신뢰를 주기 시작했고, 학생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됐다고 판단한다"며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의사는 국민의 건강을 위해 존재한다. 질병과의 싸움은 결코 멈출 수 없고, 의사 양성 역시 단절되어선 안 된다"며 "한국전쟁 중에도 전문의 제도를 시작한 나라가 바로 대한민국이다. 지속 가능한 의료는 지금 이 순간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