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병원을 중심으로 의료 인력난 해소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시도병원회장들은 최원영 보건복지부 차관을 만나 의료인력난이 심각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날 송재만 강원도병원회장은 “지방은 중소병원 뿐만 아니라 대학병원들조차 심각한 의료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 회장은 지방의 경우 의료인 공동화현상을 겪고 있다며 심각한 수준임을 환기시켰다.
정흥태 부산시병원회장도 "서울을 제외한 지방은 대도시라 하더라도 전공의는 고사하고 임상 스탭마저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어려움을 호소했다.
잘 알려져 있다피시 지방 병원의 의료인력난은 서울의 대형병원들이 병상을 늘리고, 인력을 싹쓸이하면서 비롯된 측면이 강하다.
주승용 의원이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이대로 병상을 방치할 경우 2020년에는 일반 병상이 55만 5천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 때문에 병원 사전허가제를 비롯한 병상억제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러나 복지부가 병상 억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마땅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등급제도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 급성기병상 대비 간호사 비율에 따라 수가를 가감지급한 결과 대형병원들은 인력을 대거 확충했고, 지방 병원에 근무하던 간호사들은 사표를 던지고 서울로 상경하고 있다.
그러니 지방 병원들은 연봉을 대폭 인상해도 간호사를 구하지 못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복지부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당초 지난 9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간호등급제 개선안을 제출할 예정이었지만 잠정 연기한 상태다.
이왕 제도를 개선한다면 간호등급제 인력 산정 대상에 간호조무사를 포함시키는 방안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미 의원, 정신병원, 요양병원에서는 간호조무사가 의사 보조인력으로 인정받고 있다.
지방 병원의 인력 대란은 지방의료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고, 경영난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대형병원 중심의 의료정책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지방의료의 미래는 어둡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