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본격 시행되는 C형간염 국가검진을 두고 확진자 선별 이후 치료와 연계하는 방안이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전라북도에서 시행된 전북지역 C형간염 검진 시범사업 결과 실제 항바이러스제 치료 받은 비율은 55.8%에 불과해 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전화 독려와 같은 방법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17일 대한간학회와 한국간재단은 웨스틴조선에서 '간의 날' 기념식 및 토론회를 진행하고 내년부터 시행되는 C형간염 항체 국가건강검진에 대한 의의 및 과제에 대해 모색했다.
C형간염은 혈액으로 전파되는 전염성 질환.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 등의 만성간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고, 현재 40∼50대에서 암종별 사망 원인 1위로서 조기 진단 및 치료를 통한 감염 확산 방지가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C형간염은 무증상 감염이 대부분(약 70~80%)으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없지만 경구용 치료제를 8~12주 투여할 경우 98% 완치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당장 내년부터 만 56세(2025년 기준 1969년생부터)에 국가검진에 C형간염 항체검사가 도입돼 대상 인구 약 80만 명 중 수검율 74.2%를 적용 시 수검 인구는 약 59만명으로 추산된다.
이 중 연간 약 1000명 내외의 C형간염 환자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문제는 현실적인 치료율은 그 절반에 그칠 수 있다는 것.
'C형간염: 국가 검진의 도입'이라는 주제로 발표한 대한간학회 의료정책위원회 김인희 이사(전북의대 교수)는 전라북도의 시범사업 사례를 근거로 검진 도입 이후 치료 연계가 과제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김인희 이사는 "C형간염은 조기발견도 중요 하지만 대부분 증상이 없기 때문에 치료를 간과하기 쉽다"며 "국민들께서는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C형간염으로 진단받으면 곧바로 치료를 시작해달라"고 당부했다.
그가 근거로 든 것은 지난 달 종료된 전라북도 보건소 캠페인 사례다.
전라북도는 2023년 1월부터 2024년 6월까지 도내 C형간염 진단환자 320여명을 대상으로 1:1 전화 설문 및 교육자료 문자메시지 전송으로 치료를 독려한 바 있다.
김 이사는 "총 311명 대상자 중 208명 조사를 완료했다"며 "전화 설문조사를 완료한 208명 중 148명(71.2%)은 진단 후 치료를 받았지만 60명(28.8%)은 치료받지 않았다고 응답했다"고 말했다.
그는 "진단 후 치료를 받은 148명 중 116명(78.4%)은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았고, 22명(14.9%)는 치료는 받았으나 치료 종류를 모른다고 답했다"며 "10명(6.8%)은 간보호제 치료를 받았다고 응답했다"고 밝혔다.
실제 분석 결과 전북지역 C형간염 확진자 중 항바이러스제 치료 받은 비율은 55.8%에 불과했다.
치료 시도 후 치료 실패 또는 재발 비율은 2.6%였고, 확진 후 치료 받지 않은 이유로는 질병 및 치료 인지 부족(무증상, 치료 필요 모름, 완치 모름)이 58.7%를 차지했다.
김 이사는 "치료를 받지 않은 이유로 약제 비용 부담, 병원 방문 어려움, 병원 안내 부족과 같은 의료접근성 제한도 30.4%를 차지했다"며 "C형간염의 대응은 진단과 관리, 치료까지 연계되는 연속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따라서 확진 이후 감염자가 치료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와 더불어 주사 마약 사용자, 교정시설 수용자, 북한이탈 주민과 같은 고위험, 특수 집단 등에 대한 맞춤형 검진, 관리 체계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