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HF2025
KHF에서 만나는 의료 AI 대가들…K-서밋 관심 집중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하루 앞으로 다가온 국제 병원 및 헬스테크 박람회(KHF2025)에서 국내 의료 인공지능(AI) 대가들을 만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돼 이목을 끌고 있다.의료 AI의 핵심 과제와 새로운 기회를 집중 조명하는 '2025 K-디지털헬스케어 서밋'이 오는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올리기 때문이다.의료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볼 수 있는 디지털헬스케어 서밋이 오는 18일 코엑스에서 막을 올린다.대한병원협회 미래헬스케어위원회는 오는 18일 제 4회 K-디지털헬스케어 서밋을 개최할 예정이다.이 자리에서는 의료 데이터 거버넌스와 AI 신뢰성, 임상 적용성 등 의료 AI의 현주소와 미래를 살펴볼 계획이다.기조강연에서는 김대식 카이스트 교수가 'AGI 시대 인간과 건강'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다.김 교수는 범용 인공지능(AGI)이 의료와 삶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살펴보고 최신 기술 사례를 통해 AGI의 가능성과 한계를 균형 있게 짚어볼 예정이다. 또한 변화 속에서 의료 현장이 준비해야 할 방향도 제시할 예정이다.이어지는 세션에서는 '돈이 되는 의료 인공지능'을 주제로 박용민 LG AI연구원 사업개발팀장이 참여한다.이 세션에서는 의료 영상 판독, 신약 개발, 병원 행정 효율화 등 다양한 AI의 활용 가능성과 기술이 어떻게 실제 비즈니스 모델과 연결될 수 있는지 집중 조망한다. .올해는 처음으로 패널 토론 자리도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는 의료기관, 학계, 산업계를 대표하는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한국 의료 현장에서의 AI 활용 현황과 과제를 대담 형식으로 토론한다.은성의료재단 구자성 이사장, 연세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신재용 교수, 알피 김중희 대표가 패널로 참여하며 카카오벤처스 김치원 부대표가 좌장을 맡아 의료 산업 전반에 AI가 어떻게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또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다각도로 논의한다.마지막으로 권순일 업스테이지 사업총괄 부사장은 'AI 기반 의료 문서 자동화와 상담 AI의 활용 사례'를 발표한다.이 세션에서는 실제 병원 현장에서 적용된 문서 작성·관리 자동화와 상담 AI 사례를 소개하며 환자 기록 관리·보험 청구·진료 문서 표준화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성과를 공유한다.더불어 데이터 보안, 규제 준수, 사용자 수용성 등 도입 과정에서의 주요 과제도 함께 다른다는 점에서 기대를 모은다.한편 업스테이지는 한국 정부가 주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인 '국가대표 AI' 사업에 선정된 5개 정예팀 중 유일한 스타트업이다.이번 발표를 통해 자체 개발한 초거대 AI 모델 솔라(SOLAR)가 헬스케어 분야에서의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 지,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서밋 종료 후 오후 6시부터는 코엑스 D홀 전시장 내 제4세미나실에서 제2회 KHA HealthTech Meetup이 열린다.이번 밋업은 병원 임원과 의료기관 관계자, 산업계, 정부가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과 사업 모델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교류하는 네트워킹 자리다.병원에는 실질적인 솔루션을, 기업에는 새로운 사업 기회를, 정부에는 정책 현장의 목소리를 전할 수 있어 업계 전반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양문술 병원협회 미래헬스케어위원장은 "이번 서밋은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대표 AI 프로젝트에 선정된 LG AI연구원과 업스테이지가 함께 참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LG AI연구원은 대기업의 연구 성과와 글로벌 전략을 업스테이지는 병원 현장에서 검증된 적용 사례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의료 AI의 미래와 현실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패널토론과 밋업을 통해 의료기관, 산업계, 정부가 직면한 과제를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새로운 협력과 비즈니스 기회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며 "참가자들에게는 의료 AI의 방향성과 현장의 생생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한편, 이번 서밋은 공식 홈페이지(www.khospital.org)에서 등록할 수 있으며, 참가비는 5만 5천원이다. 서밋 등록자는 KHA HealthTech Meetup에도 함께 참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