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진료비 분석…척추·관절 질환 전문병원 강세
네트워크 형태의 H병원들이 병원급 의료기관 청구액(본인부담 포함) 순위 상위권을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심평원이 국회에 제출한 2010년 병원급 총 진료비 상위 기관 현황에 따르면 H병원 네트워크가 상위 10위권에 3곳이나 포함돼 있었다.

병원급 총 진료비 상위 10위 순위
서울 양천구에 위치한 H병원이 1위였고, 인천에 위치한 H병원이 4위, 도봉구에 위치한 H병원은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총 진료비는 각각 255억원(12월 심사결정분 기준), 207억원, 153억원이었다.
이어 서울 영등포구의 K병원이 2위(230억원)였고, 대장·항문 질환을 다루는 서울 중구의 S병원(214억원)과 서초구의 D병원(170억원)은 각각 3위와 5위를 차지했다.
노인전문병원인 성남의 B병원도 총 진료비 158억원으로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척추·관절 질환, 대장·항문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병원들이 대부분 총 진료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1위인 수원의 L병원에 이어 13위인 부산 수영구의 P병원, 부산 남구의 P병원(14위), 인천 연수구의 H병원(15위) 모두 척추·관절 질환 전문병원이었다.
17일 심평원이 국회에 제출한 2010년 병원급 총 진료비 상위 기관 현황에 따르면 H병원 네트워크가 상위 10위권에 3곳이나 포함돼 있었다.

이어 서울 영등포구의 K병원이 2위(230억원)였고, 대장·항문 질환을 다루는 서울 중구의 S병원(214억원)과 서초구의 D병원(170억원)은 각각 3위와 5위를 차지했다.
노인전문병원인 성남의 B병원도 총 진료비 158억원으로 7위에 이름을 올렸다.
척추·관절 질환, 대장·항문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병원들이 대부분 총 진료비 상위권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11위인 수원의 L병원에 이어 13위인 부산 수영구의 P병원, 부산 남구의 P병원(14위), 인천 연수구의 H병원(15위) 모두 척추·관절 질환 전문병원이었다.